이동자 수 628만 3천명, 전년대비 2.5%(15만 5천명) 증가
□ 2024년 국내인구이동자 수는 총 628만 3천 명, 전년대비 2.5%(15만 5천 명) 증가함.
□ 인구이동률(인구 1백 명당 이동자 수)은 12.3%로 전년대비 0.3%p 증가함.
□ 전체 이동자 중 시도내 이동은 65.4%(410만 9천 명), 시도간 이동은 34.6% (217만 5천 명)를 차지함.
○ 전년대비 시도내 이동은 3.1%(12만 3천 명), 시도간 이동은 1.5%(3만 2천 명) 증가함.
□ 시도내 이동률은 8.1%, 시도간 이동률은 4.3%로 전년대비 각각 0.3%p, 0.1%p 증가함.
□ 연령별 이동률은 20대(23.9%)와 30대(21.0%)에서 높고, 6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낮음.
○ 전년대비 20대(1.1%p), 30대(0.9%p), 10세미만(0.6%p) 순으로 이동률이 증가, 7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감소함.
□ 성별 이동률은 남자 12.7%, 여자 12.0%로 남자의 이동률이 여자보다 0.7%p 높음.
○ 이동률 성비(여자 1백명당)는 105.7명으로 전년대비 0.9명 감소함.
○ 연령별 이동률 성비는 40대가 109.5명으로 가장 높고, 80세 이상이 74.0명으로 가장 낮음.
시도별 순이동률
□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(15.7%), 대전(13.7%), 인천(13.3%) 순으로 높고, 전출률은 세종(15.0%), 대전(13.8%), 서울(13.6%) 순으로 높음.
□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(6만 4천 명), 인천(2만 6천 명), 충남(1만 5천 명) 등 5개 시도임.
○ 경기, 세종은 전년대비 순유입 규모가 증가하였고, 인천, 충남, 충북은 감소함.
□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(-4만 5천 명), 부산(-1만 4천 명), 경남(-9천 명) 등 12개 시도임.
○ 서울, 부산 등은 전년대비 순유출 규모가 증가하였고, 경남, 울산 등은 감소함.
□ 지역 인구대비 순이동자 수 비율을 보면, 순유입률은 인천(0.9%), 세종(0.7%), 충남(0.7%) 순으로 높고, 순유출률은 광주(-0.6%), 제주(-0.5%), 서울(-0.5%) 순으로 높음.
○ 전년대비 순유입률이 증가한 시도는 세종(0.3%p), 경기(0.1%p)이고, 순유출률이 증가한 시도는 제주(-0.3%p), 서울(-0.1%p), 전남(-0.1%p) 등임.
수도권, 중부권은 순유입, 영남권과 호남권은 순유출
□ 수도권은 4만 5천 명 순유입, 영남권은 4만 명 순유출
□ 수도권은 20대의 순유입이 가장 많고, 40대 이상은 순유출인 반면, 중부권은 20대는 순유출, 다른연령대는 순유입
□ 영남권은 50대는 순유입, 다른 연령대는 순유출, 호남권은 30대 이하는 순유출, 40대 이상은 순유입을 보임
□ 수도권은 중부권(-3천 명)으로 순유출, 호남권(1만 2천 명), 영남권(3만 4천 명)에서 순유입 됨.
□ 중부권은 수도권(3천 명), 호남권(5천 명), 영남권(8천 명)에서 모두 순유입 됨.
□ 호남권은 수도권(-1만 2천 명), 중부권(-5천 명), 영남권(-1천 명)으로 모두 순유출 됨.
□ 영남권은 수도권(-3만 4천 명), 중부권(-8천 명)으로 순유출, 호남권(1천 명)에서 순유입 됨.
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, 경기 양주시
□ 전국 228개 시군구 중 80개 시군구는 순유입, 148개 시군구는 순유출 됨.
□ 시군구별 순유입률은 대구 중구(9.2%), 경기 양주시(7.6%), 경기 오산시(5.2%) 순으로 높음.
□ 시군구별 순유출률은 서울 용산구(-4.3%), 경기 의왕시(-2.9%), 경북 칠곡군(-2.4%) 순으로 높음.
주된 전입사유는 주택, 가족, 직업 순
□ 전년대비 주택·가족 사유로 인한 이동자 수는 증가한 반면, 직업사유로는 감소
□ 인천·경기·충북의 주된 순유입 사유는 주택, 충남은 직업, 세종은 가족
□ 부산ㆍ대구 등 7개 시도의 주된 순유출 사유는 직업, 서울과 대전은 주택
'society st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갤럭시 S25 출시, 허위 과장 광고 주의 (1) | 2025.01.29 |
---|---|
지우개(지켜야할 우리들의 개인정보) 서비스 (0) | 2025.01.29 |
2024년 주요 민원 키워드 (0) | 2025.01.27 |
현대 기아 자발적 시정조치(리콜) (0) | 2025.01.26 |
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(라이즈) (0) | 2025.01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