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society story

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 고용 구조 재편 전망

by connecting story. 2024. 11. 21.
반응형
반응형

 

디지털 전환이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

 

한국고용정보원(부원장 신종각)디지털 전환(자동화 및 AI)이 한국 산업과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‘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’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.

 

<디지털 전환(자동화 및 AI)이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(사업체 조사)>

 

저자는 디지털 전환으로 영향을 미치는 산업 및 인력수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20개 업종 1,700개 사업체와 업계 전문가 300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.

사업체 조사 개요

 

주요 결과, 디지털 혁신·전환 및 활용 목적은 제조업의 경우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, 서비스업의 경우 업무 편의성 개선 및 소비자의 편익 증진을 위한 것으로 나타났다. 향후 고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디지털 전환 기술 인공지능(AI)으로 나타났으며 ‘AI 기술을 도입해 현재 활용하고 있다라고 응답한 비중은 18.3%로 나타났다.

 

디지털 기술의 혁신과 전환이 성공적으로 도입되고 활용된다면 고용 규모 변화는 향후 5년 뒤 8.5% 감소, 10년 뒤 13.9% 감소할 것으로 응답되어 노동력 부족을 대비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지털 전환 기술 활용하고 있다. 산업별로는 음식숙박업(‘28, -14.7%), 운수·물류업(’35, -21.9%)에서 고용 감소폭이 클 것으로 응답했다.

 

 

디지털 기술의 혁신과 전환에 따른 산업별 고용 감소폭
디지털 기술의 혁신과 전환에 따른 산업별 고용 감소폭

 

 

디지털 기술의 도입직무에 어떤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면, 인지적 특성을 가진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의 경우 보완/도움(74.2%)을 준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, 자동화의 영향을 받는 설치·정비·생산직에서 대체(63.3%)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.

디지털 기술이 직무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

 

디지털 전환과 활용이 활발하게 전개될 경우, 평균 근무시간은 감소하고 평균임금은 증가하는 등 노동의 질이 개선될 것으로 응답했다.

 

 

자동화에 따른 노동력의 대체 가능성

 

저자는 디지털 전환(자동화 및 AI)에 의한 직업별 대체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직업 전문가 887(110개 직업별)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. 디지털 전환의 영향은 직업 및 직무 유형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.

 

직업 분류별로 살펴보면, 숙련도를 요하는 전문가와 대면 업무가 주를 이루는 서비스직은 대체 가능성이 낮을 것(21~40%)으로 응답한 반면, 사무종사자, 판매종사자, 장치기계조립, 단순노무 직군에서 대체 가능성이 높을 (61~80%)으로 응답했다. 챗지피티 등 생성형 인공지능(AI) 도입로 모든 직업에서 노동력 대체 등 고용구조 변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보았다.

자동화에 따른 노동력 대체 가능성
출처 -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(한국고용정보원)

 

 

 

직무 유형별 노동력의 대체 가능성

 

무 유형별로 살펴보면, 단순반복 직무, 반복적이지 않은 육체적 직무, 반복적이지 않은 사고·인지 직무 순으로 노동력 대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응답했다.

출처 -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(한국고용정보원)

 

저자는 인구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과 숙련직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 등 기술혁신을 추진하고, 디지털 전환이 산업직업직무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산업 및 고용구조 변화에 대응한 제도 및 정책이 요구된다라며, “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빅데이터, 인공지능 등 디지털 전환과정에서 야기되는 직무 변환 및 산업구조 전환에 대비한 직무 재교육 및 훈련, 유휴인력 지원책을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.

 

전체 원문은 한국고용정보원 누리집(www.keis.or.kr)[연구성과] [연구성과물] [연구사업보고서] 메뉴에서 받아볼 수 있다.

 

* 한국고용정보원 보도자료(2024.11.12.)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