설 기간(1.10 ~ 2.10) 온누리 상품권 1조원 이상 판매
- 총 판매액 1조 267억원, 이중 디지털상품권은 8,393억원으로 작년 동기대비 총 판매액 5,794억원, 디지털상품권 7,377억원 증가
- 총 사용액 5,286억원, 이중 디지털상품권 사용액은 3,733억원이며, 작년 동기대비 총 사용액 1,815억원, 디지털상품권 2,770억원 증가
-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활용 촉진을 위해 통합앱 출시 등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골목형상점가를 ‘25년 누적 600개까지 확대하는 등 사용처도 확충
설 명절 기간 판매 등 현황
중소벤처기업부(장관 오영주, 이하 중기부) 김성섭 차관은 13일(목),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2층 상생룸에서 출입기자들을 대상으로 ‘25년 설 명절 온누리상품권 판매현황과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설명하였다.
이날 설명회는 설 명절이 포함된 1달간(1.10~2.10)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특별할인 판매 및 환급 등 소비촉진 행사 결과에 대한 성과를 공유하고,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활용 확대 등 온누리상품권의 정책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.
중기부는 설을 앞두고 전통시장 및 상점가를 이용하는 국민들의 물가부담을 덜어주고,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설 명절(1.29)을 전후한 한달간(1.10~2.10) 디지털(카드형 및 모바일) 온누리상품권 구매 할인율 상향과 디지털상품권 결제시 환급, 온라인전통시장관 할인쿠폰지급, 디지털상품권 사용자 추첨 등을 내용으로 하는 빅(Big)4 이벤트*를 시행했다.
* ① 디지털상품권 할인율 상향(10→15%), ② 디지털상품권 결제액의 15%를 환급,
③ 온라인전통시장관 결제시 5% 할인쿠폰, ④ 3만원 이상 디지털상품권 결제시 추첨
이번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판매 및 사용 촉진 이벤트로 인해 실제 상품권 판매액와 가맹점에서의 상품권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대폭 증가하였다.
① 온누리상품권 판매가 1조원에 달하는 등 판매 활성화
먼저, 상품권 판매액을 살펴보면, 이벤트 기간 동안(1.10~2,10) 지류 및 디지털상품권을 포함한 총 판매액은 1조 267억원이었고, 이중 디지털상품권 판매액은 8,393억원으로 전체 판매의 82%를 차지하였다.
이러한 판매실적은 지난해 설날(‘24.2.10)이 포함된 동일 기간* 총 판매액보다 5,794억원, 디지털상품권 판매액보다 7,377억원 증가한 것으로 디지털상품권 위주로 판매액이 대폭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.
* ‘24.1.10~2.10
무엇보다, 온누리상품권이 판매되는 데 그치지 않고, 전통시장 및 상점가의 가맹점에서 실제로 상품권을 사용하여 물건 등을 구매한 실적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② 전통시장 등의 가맹점에서 상품권 사용도 작년 대비 대폭 상승
설 포함 한달간 상품권 총 사용액은 5,286억원이고, 이중 디지털상품권 사용액은 총 사용액의 약 71%인 3,733억원이었다. 지난해 동일 기간 대비 총 사용액은 1,815억원, 디지털상품권 사용액은 2,770억원 증가하는 등 상품권 사용에 있어 디지털상품권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.
온누리상품권 구매가 실제 소비로 이어진 데에는, 디지털상품권 할인판매와 함께, 결제시 디지털상품권을 1인당 2만원 한도로 15% 환급한 점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. 환급은 총 4회에 걸쳐 진행되며, 지난 한달간 3회차까지 총 111억원이 지급되었다. 4회차 환급액 52억원은 3월 1일 이후 지급할 예정이다.
또한 온라인전통시장관에서 디지털상품권 결제액이 한달간 54억원에 달해, 지난 해 연간 온누리상품권 결제액(74억원)의 73%를 기록하며 이번 행사가 온라인상에서도 전통시장 등 가맹점의 매출증진에 기여했음을 보여준다.
특히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사용자는 463만명(카드형 225만명, 모바일 238만명)으로 ’24년말 대비 80만명이 증가했다. 이는 중기부가 추진하는 온누리상품권 디지털화와 온누리상품권의 설명절 특별판매 행사가 현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음을 보여주며, 결과적으로 가맹점 이용 증가로 이어져 소비활성화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.
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활용 촉진
중기부는 이번 설 기간 온누리상품권 판매 및 사용에서 나타난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상품권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.
①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통합앱 출시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다.
3월1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이 하나로 통합되면, 하나의 앱에서 카드형․모바일 상품권 중 선택하여 결제가 가능해진다.
가맹점 검색 후 내비게이션 길 찾기 기능이 추가되고, 고령자를 위해 큰 글씨 모드도 지원될 예정이다.
또한 통합 앱에는 상품권 충전금액 부족시 자동충전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. 가맹점에서 구입하려는 물품의 가격이 충전된 상품권 금액보다 클 때, 상품권으로 결제되지 않고 카드 신용구매로 결제되어 겪는 불편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.
카드형 상품권으로 등록할 수 있는 카드가 기존 8개에서 우리카드가 추가되어 9개로 확대*되며, 디지털상품권 사용시 불편사항을 24시간 대응할 수 있는 챗봇 상담 기능도 도입한다.
* ①비씨, ②국민, ③농협, ④삼성, ⑤신한, ⑥하나, ⑦현대, ⑧롯데 + ⑨우리카드
다만, 3월 1일 통합앱 출시 준비를 위해 ‘25년 2월 15일 00시부터 2월 28일 24시까지 기존 카드형 및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앱의 모든 기능이 중단된다.
② 사용처 확대를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늘리고, 디지털상품권 가맹점 확충에도 힘쓴다.
거주지나 직장 주변의 소규모 상권에서 편리하게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, 골목형상점가를 누적 600곳까지 확대할 예정이다. 이를 위해 지정권한이 있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관련 조례의 제․개정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추진할 예정이다.
또한, 통합 앱에는 결제금액에 대한 음성안내, 매출내역 및 정산 관리 기능이 추가되고, 가맹점주가 디지털상품권 사용시 불편사항을 상담할 수 있는 전담 전화상담실(콜센터) 등을 운영하여, 가맹 상인들이 보다 쉽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취급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.
이와 함께 가맹점을 신규 등록할 경우에는 지류상품권, 모바일 상품권, 카드형 상품권 모두를 결제수단으로 취급하도록 개선하여, 지류 뿐만 아니라 모바일 및 카드형 등 디지털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.
'society st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태블릿 품질 비교 결과 (0) | 2025.02.08 |
---|---|
공무원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(0) | 2025.02.08 |
디지털서비스 이용자 보호를 위한 다크패턴 사례집 발간 (0) | 2025.01.30 |
단말기 유통법 폐지 (0) | 2025.01.30 |
갤럭시 S25 출시, 허위 과장 광고 주의 (1) | 2025.01.29 |